<책 소개>
우리나라 항공사업법에 따른 분류는 크게 항공운송사업, 항공기사용사업 등, 외
국인 국제항공운송사업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그중 항공운송사업은 국내 및 국제 항
공운송사업, 소형 항공운송사업으로 나누고 항공기사용사업 등은 항공기정비업, 항
공기취급업, 항공기대여업,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, 항공레저스포츠사업, 상업서류
송달업 등(상업서류 송달업, 항공운송 총대리점업 및 도심공항터미널업)으로 구분
하고 있는데 항공교통안전관리자는 이에 대한 항공안전 관련업무를 수행하고 있습
니다.
최근에는 자가용항공기의 증가와 신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(UAM ;
Urban Air Mobility), 드론(Drone) 등의 출현과 더 나아가 미래항공교통(AAM ;
Advanced Air Mobility)의 출현이 예상되는 바 더욱 항공교통안전관리자의 중요성
과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
이에 항공교통안전관리자의 주요 책무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보장하기 위한 활
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단정되지만 광범위하게 수행하는 안전업무에 관해 체계적으
로 제시하고 있는 서적들이 전무하여 이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입니다.
본 교재는 1권 1편 교통안전법, 2편 항공보안법, 3편 항공안전법 요약, 4편 교통
안전관리론 등으로 기본적인 사항을 수록하였으며 2권 기출 예상문제로 구성하여
자격취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.